[AWS] EC2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웹서버를 배포해보자!
·
Server
실행사진오늘은 AWS 복습을 겸해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AMI를 통해 복제한 인스턴스 각각에서 웹 서버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실습에 들어가기 전, 간단하게 AWS와 클라우드의 개념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왜 AWS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할까? 우리가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흔히 내장 톰캣 서버를 이용해 로컬에서 실행합니다. 하지만 이 방식으로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배포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공개된 서버 환경이 없기 때문입니다. 내 컴퓨터에서만 작동하는 서버로는 다른 사람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웹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서버실을 직접 구축할 수는 없을까?..
WAS 란 무엇일까?
·
Server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수많은 웹 서비스들, 어떻게 동작하는 걸까요?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는 순간,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들이 눈 깜짝할 사이에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WAS(Web Application Server)입니다.WAS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요청과 응답을 관리하며,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사용자의 요청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WAS 에 전달하고, WAS 로 부터 받은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진다.1. WAS (Web Application Server)WAS는 동적인 웹 페이지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입니다. 정적인 HTML 파일..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흐름
·
Server
웹페이지를 제작할 때 우리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사용한다.각 구조는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먼저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용자가 웹페이지에서 어떤 동작(예: 버튼 클릭)을 하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또는 React 앱)는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이때 웹페이지는 클라이언트이고,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사용자에게 받으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서버에서는 이 요청을 응답하고 반환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React 와 Spring Boot를 예시로 들자면, React에서 상태값이 변경되면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며, 필요 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보낼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내부 로직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응답(response)으로 되돌려준다. 예를 들어..
HTTP 란 무엇일까?
·
Server
HTTP 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이다.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 인터넷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은 통신 방식이다. 간단히 우리가 인터넷 주소(URL)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HTTP 라는 약속에 따라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 이 주소에 있는 정보를 보내주세요 ' 라고 요청하고, 서버는 이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브라우저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HTTP의 주요 특징요청-응답(Request-Response) 방식: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다시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한다.상태 비저장(Sta..
[SERVER]JSP 게시판 프로젝트 흐름 정리
·
Server
JSP와 Servlet을 이용한 게시판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학원 게시판 작업 공부를 진행하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 데이터 흐름을 이해했습니다.1. 프로젝트 흐름1️⃣ index.jsp에서 menubar.jsp를 include 한다.index.jsp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 역할을 합니다.를 사용하여 menubar.jsp를 포함시켜 네비게이션 메뉴를 구성합니다.2️⃣ menubar.jsp에서 서블릿(Controller)로 요청한다.menubar.jsp에서 게시판 목록을 보려면 게시판 같은 링크를 클릭하여 서블릿으로 요청합니다.form 태그를 사용하여 로그인, 글쓰기 등의 요청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3️⃣ 서블릿(Controller)에서 Service를 호출하여 데이터..